메뉴 건너뛰기

경남고 31회 동기회

경남고등학교 제31회 동기회

남자 나이 50, 그 쓸쓸함에 대하여

2009.07.23 12:31

박종규 조회 수:255

남자 나이 50, 그 쓸쓸함에 대하여


치열한 경쟁사회에서 '회사형 인간'으로 앞만 보고 달려온 대한민국의 50대 남성.

정년이 코 앞에 있지만 경제적으로 막상 해 놓은 것은 별로 없다.

부모와 자녀에 대해 책임감이 높아 최선을 다했지만 정작 본인은 자식들 '눈치보기' 급급하다.

속마음을 털어놓을 친구도 많지 않고, 가족과 소통에도 서툴러 스트레스와 외로움에 한숨 짓는다.

'탈진상태'에 빠진 50대에게 희망은 없는 것일까…

 

'오십이지천명(五十而知天命)'.
< 논어 > '위정편(爲政篇)'에 나오는 글귀다.

공자는 나이 쉰에 하늘의 뜻을 깨달았다는 얘기다.

공자는 70세가 넘게 장수했지만 공자가 살았던 시대, 쉰이면 이미 노인에 해당할 나이다.

공자가 살던 시대까지 갈 것도 없다.

19세기 중반만 해도 서구의 인간 평균수명은 47세에 불과했다.

하지만 지금 나이 쉰의 사람을 보고 노인이라고 했다가는 봉변당하기 십상이다.

현재 한국인의 평균수명은 79.1세.

의학의 발달로 평균수명 100세가 될 날이 머지않았고,

건강관리만 잘하면 120세까지도 살 수 있다는 게 의학자들의 확신 어린 말이다.

당장 향후 10년 후에는 수명이 90세 이상으로 늘어날 것이라는 예상까지 나오고 있다.

이런 기준에서 본다면 나이 쉰은 평균적으로 이제 겨우 인생의 절반을 산 셈이다.


'58년 개띠'는 베이비붐세대(1955~1963년)의 중심에 있다.

흔히 "채이는 것이 58년 개띠"라고 하는 말은 인구 분포상 이 세대의 수가 가장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 개띠세대가 성장함에 따라 사회는 요동치고 격변을 겪었다.

이들은 극심한 입시전쟁에서 고교 평준화라는 교육제도 변혁을 가져온 주인공이다.

또 이들이 '물밀듯이' 대학에 진학한 70년대 말부터 대학 입학 제도가 출렁거렸다.

이 세대는 결국 1981년 '대학 입학은 쉽게, 졸업은 어렵게'라는 졸업정원제라는 대학제도를 낳았다.


두 번의 경제위기 직격탄 맞아

58년 개띠가 포함된 한국의 50대는 정치·사회적으로 6·3세대와 386세대 사이에 있으며

아날로그와 디지털 세대 사이에도 놓인 전형적인 '낀 세대'라고 할 수 있다.

황상민 교수는 "이들은 자신을 특징지을 뚜렷한 이름조차 가지지 못한 불운한 세대"라며

"이들은 선배인 4·19세대와 6·3세대, 후배인 386세대에 비해

제대로 평가받지 못했다는 박탈감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50대들은 70~80년대 초 경제호황과 맞물려 직장에서 산업의 역군으로,

가정에서 든든한 가장으로, 정치·사회적으로 넥타이부대로 1987년 넥타이 혁명의 상징이 됐다.

하지만 이들이 중간 간부가 되기 시작하며 맞은 IMF 외환위기 때는

준비도 안 된 상태에서 정리해고·명예퇴직의 파고를 맞아야 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08년 기준 우리나라 직장인의 평균 퇴직 연령은 만 53세로

평균 근속연수는 20년8개월이다.

하기야 삼팔선(38세 정년), 사오정(45세 정년) 소리도 옛말인데 50세까지 버티며

월급을 받았다면 '만수무강'한 축에 속한 행복한 인생일지 모른다.

하지만 삼팔선·사오정은 경제적으로 제2의 도전을 해볼 여지가 있다.

다시 공부를 할 수도, 전혀 다른 분야에 뛰어들 수도 있지만

50대들은 그럴 용기도, 또 여건도 되지 못한다.

현업에 치여 사느라 미래를 미처 준비하지 못한 사람이 대다수기 때문이다.

그래서 58년 개띠를 비롯한 한국의 50대 남자들의 가장 큰 걱정은

지금 하고 있는 경제활동을 얼마나 지속할 수 있느냐와 은퇴 후 삶이다.

실제 지난 2월 취업포털 인크루트가 20~50대 직장인 107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보면,

50대는 젊은층보다 은퇴 후의 삶에 대한 대비가 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대(46.4%)와 30대(43.4%) 10명 중 4명 이상이

현재 직장을 그만둔 이후의 삶을 준비하고 있다고 응답한 반면

40대는 35.0%, 50대 이상은 37.8%에 그친 것이다.


결혼과 출산이 늦어지면서 한국의 50대 상당수는 자녀가 학업 중이거나, 결혼을 앞두고 있는 나이여서

자신의 노후보다는 당장 자식들에게 필요한 돈을 마련하느라 허리띠를 잔뜩 졸라매는 세대이기도 하다.

청년실업이 증가하면서 대학을 졸업한 자식들에게 용돈까지 대줘야 하는 사람도 많다.

때문에 이들은 일에 대한 욕구가 강하다. 통계청에 따르면

2009년 3월 현재 50대 남자의 고용률은 84.2%로 20대 남자의 고용률 56.2%보다 훨씬 높다.

이것은 정년에 임박한 50대들이 비정규직 자식의 생계까지 책임져야 하는

기막힌 처지에 내몰린 상황을 반영하는 것이다.


"소외감과 불안감은 일종의 화병"

황상민 교수는 "이는 지금 한국의 50대 남자의 일반적인 모습"이라며

"이들은 하루의 대부분을 회사를 위해 보내는 전형적인 '회사형 인간'으로 살아왔고

늘 경쟁에 치여 살아왔기 때문에 가족을 포함해 다른 사람과 어떻게 소통해야 하는지

배운 적이 없어 대화에도 어려움을 겪는다"고 진단했다.


황 교수는 이어

"그 같은 스트레스가 가족이나 약자 등 엉뚱한 곳에서 폭발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고 덧붙였다.

정성호 강원대 사회학과 교수도 저서 < 중년의 사회학 > (살림)에서

"부부 관계, 자녀 관계, 직장에서 사회적 관계 등에 어려움을 느끼고 소외감과 불안감에

시달리는 것은 한국의 중년 남성이 겪는 일종의 화병"이라며

"이들은 가정과 사회 어디에서도 환영받지 못하는 '뜬 세대'"라고 말했다.

또 대한민국에 사는 50대는 가부장적인 분위기에서 성장해

부모에 대한 봉양과 자녀 뒷바라지에 대한 책임감이 강하지만

정작 자신들은 자식들에게 봉양받지 못하는 세대다.

2007년 여론조사기관 엠브레인이 전국 50대 86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향후 믿고 의지할 수 있는 대상'을 묻는 질문에 13.6%만 '자녀'라고 답했고,

'자녀에게 부양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는

71.7%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게다가 50대 남자는 신체적으로도 '내리막길'이다.

쉰을 넘기면서 눈도 침침해지고 술 마신 다음날 해독 능력도 현저히 떨어지며 성기능도 저하한다.

여기저기 몸에 이상 신호가 오기 시작한다.

하지만 아파도 아픈 것을 내색하지 못한다.

 

최근 < 남성심리학 > (리더스북)을 펴낸 인제대 스트레스연구소 소장인

우종민 박사(현 백병원 신경정신과 박사)는

"만약 건강에 이상 증세가 보일 경우 임원 승진에 걸림돌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중년이 되면 회사에서 마련한 건강검진을 받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다"며

"경쟁우선주의·성과우선주의 문화 속에서 살아온 이들은 다른 사람들을 모두

자신의 경쟁 상대로 인식하기 때문에

자신의 약점을 노출하지 않으려는 본능이 강하다"고 진단했다.


그러다 보니 이들에게는 자신의 속내를 털어놓을 친구도 없다.

당연히 스트레스는 안으로만 쌓여간다.

우 박사는 "여자들은 동창회에 나가서 남편 흉도 보고 자식 자랑도 하면서 스트레스를 풀지만

50대 남자들은 동창회를 나가도 어떻게 하면 비즈니스를 할까 생각하기 때문에

만나면 속이야기는 털어놓지 않고 괜한 정치 이야기만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50대 부부 5분만 같이 있으면 싸움"

이들은 가족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하지만 정작 아내, 자식들과 대화나 공감 능력은 서툴다.

쉴틈없이 회사 일에 매진하느라 그동안 가족과 함께 할 시간이 많지 않았던 탓이다.

게다가 체내에 여성 호르몬이 점차 증가하면서 사소한 일에도 서운한 감정을 갖는 일이 잦다.

누가 조금이라도 기분 상하는 말을 하기라도 하면

'내가 어떻게 살아왔는데' '내가 누군데' 하며 토라진다.

'50대 부부가 5분만 같이 있으면 싸움이 난다'는 말이 있을 정도다.


서울의 한 대학에 재직 중인 53세 김모 교수는

"학교 연구실 대신 집에서 일을 해보려 했는데 결국 며칠 만에 다시 짐을 싸들고 학교로 나왔다"며

"마음에 들지 않는 일 투성이여서 아침부터 저녁까지 아이들과 아내에게 자꾸 잔소리를 쏟아내고

부모님께도 대드는 내 모습을 발견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한 심리학자는 "우스갯소리로 20대와 50대 남녀가 모텔에 들어갔다 나오는 시간을 측정하면

50대 남자들의 특징을 잘 알 수 있다는 말이 있다"며

"인터넷도 하고 대화도 나누면서 하루 종일 모텔에서 즐겁게 보낼 수 있는 20대와 달리

대화에 서툰 50대는 딱 한 가지 목적만 이루고 나오기 때문에

모텔에 머무는 시간이 극히 짧을 수밖에 없다"고 귀띔했다.


이민아 서울대 사회교육과 교수는

"살아오면서 여러 가지 사회적 풍파를 겪으며 누구보다 배신감과 상실감을 느끼고,

자신의 삶이 의지나 노력만으로 만들어지는 게 아니라는 것을 깨달은 한국의 50대 남자는

기본적으로 대화하는 준비가 안 돼 있는 것은 물론이고, 어떻게 노는지,

직장이 아닌 다른 세계에서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 모르는 세대"라고 말했다.

이들이 사회생활을 하며 배운 스트레스 해소 방법은 오직 술이다.

룸살롱, 폭탄주, 이런 게 익숙한 세대다.

하지만 술은 당장 힘겨움을 잠시 덜어줄 수 있을지는 몰라도 결국은 건강만 더 해친다.

우종민 박사는 "한국의 중년 남자들은 경쟁사회에서 밀려나지 않기 위해

액셀러레이터를 너무 밟아 기름이 다 떨어진 탈진 상태"라며

"펌프에서 물을 솟게 하려면 세 바가지의 물, 즉 마중물을 부어야 하듯이,

50대 이후를 편안하게 보내려면

가족과 친구, 취미 이 세 가지 마중물을 미리 준비해둬야 한다"고 조언했다.

 

가족들의 도움도 필요하다.

이민아 교수는 "한국의 대다수 50대 남자는 전쟁터에서 돌아온 장수나 마찬가지"라며

"패잔병이 아니라 때로는 부상하고, 때로는 죽을 고비를 넘기며 가족을 위해 힘들게 살아온 가장이기 때문에

가족들이 전장에서 돌아온 장수를 맞듯 따뜻하게 맞아야 한다"고 피력했다.

위클리경향 | 입력 2009.04.30 14:23 |
< 박주연 기자 jypark@kyunghyang.com >

위로